7월호에서는 직장인의 건강 관리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.
구독자님을 위한 건강정보 큐레이션,
국가건강정보포털 뉴스레터 월간세알입니다. 

안녕하세요, 구독자님.

무더위로 시원한 곳을 찾게되는 7월☀️, 월간세알이 구독자 여러분을 찾아왔습니다.


혹시 하루 종일 앉아서 일하다 보면 목과 어깨가 뻐근하고, 손목이 시큰거리진 않으세요? 에어컨이나 선풍기 바람에 눈도 건조해지고 피로하며, 소화도 잘 안되는

경우는 없으신가요?

이러한 불편한 증상들, 사실 많은 직장인들이 겪는 몸의 이상 신호일 수 있습니다.


이번 호에서는 직장인들이 자주 겪는 건강 문제와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생활

건강 실천법을 소개합니다.☘️

업무 효율은 높이고 불편함은 줄이는 건강한 직장 생활, 지금 함께 시작해볼까요!


  • 직장인의 건강 관리법
  • 위염의 원인과 관리법
  • 직장인 건강 안전수칙

하루 대부분을 앉아서 일하고,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끼고 사는 직장인들.

목, 어깨, 손목이 아프고, 눈은 건조하고, 속은 쓰리고, 머리는 지끈지끈...😡

혹시 이런 증상들, 익숙하신가요?


직장인의 일상 속 건강 위협 요소는 단순한 불편을 넘어 업무 효율 저하와 삶의 질까지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. 하지만 생활 속 작은 실천으로 충분히 관리할 수 있습니다.😊


🌸 직장에서 실천하는 건강 습관, 이렇게 시작해보세요!

  • 바른 자세 유지하기
  • 스트레칭과 계단 오르기로 활동량 늘리기

  • 눈의 피로 줄이기

  • 건강한 점심시간 보내기

  • 업무 중 스트레스 관리하기

  •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기
  • 숙면을 위한 생활 리듬 만들기

생활 속 실천이 더 건강한 직장 생활로 이어집니다! 🌿

⬇️ 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⬇️

위염은 위 점막에 염증이 생긴 상태로, 자극적인 음식, 불규칙한 식사, 스트레스, 약물 복용, 헬리코박터균 감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
급성과 만성 위염으로 나뉘며,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고, 소화불량이나 복통처럼 다른 질환과 비슷한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.🌿


특히 우리나라는 위암 발생률이 높은 편이므로, 나이, 성별, 가족력, 이전 내시경 결과, 생활습관, 위암 관련 경고 증상(삼킴 곤란, 체중 감소, 위장관 출혈 등)에 따라 내시경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
위염 치료는 증상과 내시경 결과에 따라 달라지므로, 소화불량이나 속쓰림 등의 증상이 지속된다면 꼭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세요!👩‍⚕️


⬇️ 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⬇️
정해진 일과대로 움직여야 하는 직장인들은 건강 관리가 어렵지만,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으로 건강을 지킬 수 있습니다.😊

🌸 직장인 건강 안전수칙
  • 운동 부족 해소를 위한 계단 사용과 걷기 생활화

  •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 전후 스트레칭

  • 7~8시간 수면과 주기적인 휴식

  • 균형 잡힌 식사, 야식 피하기

  • 존중하는 태도로 원만한 직장 관계 유지

  • 하루 10분 자신 점검으로 스트레스 감소
  • 건강진단, 암검진, 예방접종으로 감염병 예방
  • 유해요인 파악 후 보호구 착용으로 건강 보호
💌 월간세알 입문자를 위한 이용 가이드 💌
월간세알은 질병관리청 국가건강정보포털의 뉴스레터입니다.
매월 셋째주 수요일에 세 가지 알아야 하는 건강정보를 보내드리고 있어요.
곳곳에 표시된 파란색 글씨와 더 알아보기 버튼을 클릭하면 링크로 이동해요!
월간세알 지난호를 아직 못보셨다고요? 여기서 보실 수 있습니다.  
국가건강정보포털 알차게 이용하는 방법!! 지금한번 해보세요.

          - STEP 1: 업데이트된 건강정보와 궁금한 건강정보 검색하기

          - STEP 2: 이달의 건강정보, 월간세알 구독하고 매월 건강소식 받아보기

          - STEP 3: 공공누리 적용으로 언제든지 필요한 건강정보 담아가기

이번달 월간세알은 여기까지
구독자님, 우리 다음달에도 건강히 또 만나요!

nhis@korea.kr / 02-2030-6602
(28159)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생명2로 187
오송보건의료행정타운내 질병관리청 

수신거부 Unsubscribe